셰이머스 히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셰이머스 히니(Seamus Heaney, 1939–2013)는 아일랜드의 시인, 극작가, 번역가이자 1995년 노벨 문학상 수상자이다. 그는 북아일랜드의 시골 환경을 배경으로 한 작품을 주로 썼으며, 초기에는 시골과 교구 생활을, 후기에는 북아일랜드의 분쟁과 정치적 갈등을 다루었다. 주요 작품으로는 시집 《자연주의자의 죽음》(1966), 《북》(1975), 《현장 작업》(1979), 《사물 보기》(1991), 《정신 수위》(1996), 《인간 사슬》(2010) 등이 있으며, 희곡 《트로이의 치료》(1991)와 번역서 《베오울프》(2000)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런던데리주 출신 - 토마스 맥켈리
토마스 맥켈리는 아일랜드 공화주의자로, 무장 투쟁에 참여하여 영국군을 공격하고 폭탄 공격을 감행했으며, 수감 중 단식 투쟁을 하다 사망했고, 사후 기념 사업과 노래의 주제가 되었다. - 런던데리주 출신 - 프랜시스 휴스
프랜시스 휴스는 북아일랜드 분쟁 시기 IRA 활동가로, 1978년 체포되어 징역형을 선고받고 1981년 단식 투쟁 중 사망하여 북아일랜드 분쟁의 상징적인 인물이 되었다. - 북아일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데이비드 트림블
데이비드 트림블은 1944년 벨파스트에서 태어나 2022년 사망한 북아일랜드의 정치인으로, 퀸즈 대학교 교수, 얼스터 유니오니스트당 당수 및 국회의원을 역임하고 1998년 벨파스트 협정 체결에 기여하여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북아일랜드 자치정부 초대 수상을 지냈다. - 북아일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베티 윌리엄스
베티 윌리엄스는 1976년 북아일랜드 분쟁으로 인한 아이들의 희생을 계기로 메어리드 코리건과 함께 '평화를 위한 여성'을 창립하여 평화 운동을 전개한 공로로 노벨 평화상을 공동 수상하고, 이후 세계 어린이 자선 센터를 설립하여 여성과 아동을 위한 활동을 이어간 북아일랜드의 평화 운동가이다. - 아일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숀 맥브라이드
숀 맥브라이드는 아일랜드 독립운동가, 정치인, 변호사, 인권 운동가로 활동하며 아일랜드 독립 전쟁에 참여하고, 클란 나 포블라흐타를 창당하여 외무부 장관을 역임했으며, 국제앰네스티 공동 설립, 노벨 평화상 수상 등 인권 및 평화 운동에 기여했다. - 아일랜드의 노벨상 수상자 - 조지 버나드 쇼
아일랜드 출신 극작가 조지 버나드 쇼는 풍자와 기지가 넘치는 희곡 작품과 날카로운 비평, 사회주의 운동 참여로 20세기 연극과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셰이머스 히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셰이머스 저스틴 히니 |
출생 | 1939년 4월 13일 |
출생지 | 북아일랜드 캐슬도슨 인근 탐니아란 |
사망 | 2013년 8월 30일 (향년 74세) |
사망지 | 아일랜드 더블린 블랙록 |
안장지 | 벨라히 성모 교회 |
직업 | 시인, 극작가, 번역가 |
모교 | 퀸즈 대학교 벨파스트 |
활동 기간 | 1966년–2013년 |
배우자 | 마리 데블린 (1965년 결혼) |
자녀 | 3명 |
작품 | |
주요 작품 | 자연주의자의 죽음 (1966년) 북 (1975년) 현장 작업 (1979년) 정신 수준 (1996년) 베오울프: 새로운 운문 번역 (번역, 1999년) 지구와 원 (2006년) 인간 사슬 (2010년) |
수상 | |
주요 수상 | 노벨 문학상 (1995년) 스트루가 시의 저녁 금관상 (2001년) |
서훈 | |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 프랑스 문화예술공로훈장 코망되르 |
2. 생애
히니는 1939년 4월 13일 캐슬다우슨과 툼브리지 사이의 농가인 모스번에서 아홉 남매 중 첫째로 태어났다. 1953년 가족은 벨라기로 이사했다. 그의 아버지는 소 상인이었던 패트릭 히니였고, 어머니는 지역 린넨 공장에서 일했던 마가렛 캐슬린 맥칸이었다. 히니는 자신의 내면에 아버지로 대표되는 게일 전통과 어머니로 대표되는 산업화된 얼스터 사이의 긴장이 있다고 언급했다.[137]
아나호리시 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데리에 있는 가톨릭 기숙 학교인 세인트 콜럼스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고 입학했다. 세인트 콜럼스 칼리지 재학 중, 1953년 네 살이었던 동생 크리스토퍼가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히니의 시 "중간고사"와 "구역과 원"은 동생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137]
소년 시절 캐슬다우슨 GAA에서 게일 축구를 했으며, 벨라기로 이사한 후에도 클럽을 바꾸지 않았다. 10대 후반 벨라기 GAA 클럽과 교류하며 아마추어 연극에 출연하고 클럽을 위한 보물찾기를 작곡하기도 했다.[137]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교직에 종사하다 1966년 첫 시집 ''자연주의자의 죽음''을 출판했다. 이후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 강사(1966년)를 거쳐 1985년부터 1997년까지 하버드 대학교 교수를 역임했다.
2013년 8월 30일, 더블린의 병원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37] 2020년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된 조 바이든은 히니의 시를 인용하며 "아일랜드계 미국인의 영혼을 뒤흔들었다"고 평가했다.[137]
2. 1. 초기 생애 (1939-1956)
히니는 1939년 4월 13일 캐슬다우슨과 툼브리지 사이의 모스번이라는 가족 농가에서 아홉 남매 중 첫째로 태어났다.[137] 1953년, 그의 가족은 몇 마일 떨어진 벨라기로 이사했는데, 이곳은 현재 가족의 집이 되었다. 그의 아버지는 농부이자 소 상인이었던 패트릭 히니(1986년 10월 사망)였으며, 제임스와 사라 히니 사이에서 태어난 10명의 자녀 중 여덟째였다. 패트릭은 부모가 일찍 사망한 후 그를 키운 삼촌들에 의해 소 거래를 시작했다. 히니의 어머니는 마가렛 캐슬린 맥칸(1911–1984)으로, 그녀의 친척들은 지역 린넨 공장에서 일했다. 히니는 그의 아버지로 대표되는 시골 게일 전통과 그의 어머니로 대표되는 산업화된 얼스터 사이의 내면적 긴장에 대해 언급했다.히니는 아나호리시 초등학교에 다녔으며, 열두 살 때 데리에 있는 로마 가톨릭 기숙 학교인 세인트 콜럼스 칼리지에 장학금을 받아 입학했다. 세인트 콜럼스 칼리지에서 공부하는 동안, 히니의 남동생 크리스토퍼는 1953년 2월, 네 살의 나이에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시 "중간고사"와 "구역과 원"은 그의 동생의 죽음과 관련이 있다.
히니는 소년 시절 고향 지역 클럽인 캐슬다우슨 GAA에서 게일 축구를 했으며, 가족이 벨라기로 이사했을 때 클럽을 바꾸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10대 후반에 벨라기 GAA 클럽과 문화적으로 교류하게 되었으며, 아마추어 연극에 출연하고 클럽을 위한 보물찾기를 작곡했다고 언급했다.[137]
2. 2. 초기 경력 (1957-1969)
히니는 1957년부터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에서 영어 언어 및 문학을 공부했다. 그곳에서 테드 휴즈의 ''Lupercal''의 사본을 발견하고 시를 쓰도록 영감을 받았다. 그는 "갑자기 현대 시의 주제가 내 삶의 소재가 되었다"고 말했다.[17] 1961년 우등 학위로 졸업했다.[18]벨파스트의 성 요셉 사범대학(현재 세인트 메리 대학교와 통합)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고 벨파스트의 밸리머피에 있는 성 토마스 중학교에서 가르치기 시작했다.[19] 이 학교의 교장은 모너건 주 출신 작가인 마이클 맥라버티였으며, 히니에게 패트릭 카바나의 시를 소개했다.[20][21] 맥라버티의 지도를 받으며 1962년에 처음으로 시를 출판하기 시작했다. 소피아 힐란은 맥라버티가 젊은 벨파스트 시인에게 양아버지와 같았다고 묘사했다.[22] 히니는 맥라버티의 ''Collected Works'' 서문에서 "그의 목소리는 겸손하게 표현되었고, 그는 결코 세간의 이목을 끌려고 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문학적 위치는 확고하다."라며 그의 기여와 영향에 대해 요약했다.[23] 히니의 시 "Fosterage"는 ''North''(1975)에 수록된 "Singing School" 연작에 수록되었으며 그에게 헌정되었다.[24]
1963년 히니는 성 요셉에서 강연을 시작했고, 당시 퀸스 대학교 영어 강사였던 필립 홉스바움이 조직한 시인 워크숍인 벨파스트 그룹에 합류했다. 이를 통해 데릭 매혼, 마이클 롱리를 포함한 다른 벨파스트 시인들을 만났다.[18]
1962년 성 요셉에서 타이론 주 아드보 출신인 마리 데블린을 만났다. 1965년 8월에 결혼했으며[13][18] 세 자녀를 두었다.[125][1] 교사이자 작가인 데블린은 전통적인 아일랜드 신화와 전설 모음집인 ''Over Nine Waves''(1994)를 출판했다. 1965년 11월, 퀸스 대학교 축제를 위해 히니의 첫 번째 책인 ''Eleven Poems''이 출판되었다.[25] 1966년에 그들의 첫 아들 마이클이 태어났다. 그는 당시 The Irish Times에 주로 라디오에 관한 글을 쓰면서 생계를 유지했다.[26] 1968년에는 둘째 아들 크리스토퍼가 태어났다.
처음에 자신의 첫 작품집을 더블린의 돌멘 출판사에 출판하려고 했다. 답변을 기다리는 동안 페이버 앤드 페이버와 계약을 맺고 1966년에 ''Death of a Naturalist''를 출판했으며, 페이버는 그의 남은 생애 동안 그의 출판사가 되었다. 이 컬렉션은 비평가들의 찬사를 받았고 젊은 작가를 위한 그레고리 상과 제프리 페이버 상을 포함한 여러 상을 수상했다.[21] 같은 해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의 현대 영문학 강사로 임명되었다. 1968년 히니와 마이클 롱리는 "Room to Rhyme"이라는 낭독 투어를 진행하여 시인의 작품에 대한 인지도를 높였다. 다음 해 그는 두 번째 주요 작품집인 ''Door into the Dark''를 출판했다.[27]
2. 3. 전업 작가의 길 (1970-1984)
1972년, 히니는 벨파스트에서 강사직을 그만두고 아일랜드 공화국 위클로로 이주하여 전업 작가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해 그는 세 번째 시집 ''Wintering Out''을 출판했다. 1975년에는 히니의 다음 시집인 ''North''가 출판되었고,[29] ''Stations''라는 제목의 산문시 소책자도 같은 해에 출판되었다.[30]1976년 히니는 더블린의 캐리스포트 칼리지 영어과 학과장으로 임명되었고 가족과 함께 샌디마운트 교외로 이사했다. 그의 다음 시집인 ''Field Work''는 1979년에 출판되었다. ''Selected Poems 1965-1975''와 ''Preoccupations: Selected Prose 1968–1978''은 1980년에 출판되었다. 1981년 아일랜드 국립 예술 위원회인 ''Aosdána''가 설립되자 히니는 첫 번째 그룹에 선출되었다. (그는 이후 1997년에 그곳의 다섯 명의 원로이자 최고의 영예인 ''Saoi''로 선출되었다).[31]
1981년, 히니는 하버드 대학교의 객원 교수로 미국을 방문했으며, 애덤스 하우스와 연계되었다. 그는 퀸스 대학교와 뉴욕 시의 포드햄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았다(1982년). 1982년 5월 23일 포드햄 졸업식에서 히니는 46절로 구성된 "Verses for a Fordham Commencement"라는 시로 연설을 했다.[32]
북아일랜드에서 태어나 교육받은 히니는 자신이 영국인이 아니라 아일랜드인임을 강조했다.[33] 브라이언 프리엘의 ''Translations''의 Field Day Theatre Company 제작이 성공한 후, 설립자인 브라이언 프리엘과 스티븐 레아는 이 회사를 영구적인 단체로 만들기로 결정했다. 히니는 1981년 회사의 확장된 이사회에 합류했다.[34] 1984년 가을, 그의 어머니 마가렛이 사망했다.[8][35]
2. 4. 하버드 대학교 교수 시절과 노벨 문학상 수상 (1985-1999)
히니는 1985년부터 1997년까지 하버드 대학교에서 종신 교수이자 수사학 및 웅변술 보이르스턴 교수(전 방문 교수)를 역임했고, 1998년부터 2006년까지 랄프 월도 에머슨 하버드 거주 시인이었다.[36] 1986년에는 베이츠 칼리지에서 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10월, 아버지 패트릭이 사망했고,[8] 2년 안에 부모님을 모두 잃은 슬픔을 그는 시로 표현했다.[8] 1988년에는 비평 에세이 모음집 ''The Government of the Tongue''이 출판되었다.1985년 히니는 국제앰네스티 아일랜드의 요청으로 "From the Republic of Conscience"라는 시를 썼다. 그는 "국제 연합의 날과 앰네스티의 업적을 기념"하고자 했다.[37] 이 시는 국제앰네스티의 최고 영예인 양심의 대사상의 제목에 영감을 주었다.[38] 1988년 히니는 애틀랜타의 에모리 대학교 희귀 도서관에 강연 노트를 기증했다.[39]
1989년 히니는 1994년까지 5년 임기로 옥스퍼드 대학교 시학 교수로 선출되었다. 옥스퍼드 거주를 요구하지 않아, 아일랜드와 미국을 오가며 시간을 보냈다. 그는 공개 낭독회를 계속 열었는데, "히니보퍼스"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많은 사람들의 열렬한 호응을 얻었다.[40]
1990년에는 소포클레스의 ''필록테테스''를 기반으로 한 연극 ''The Cure at Troy''가 출판되었고,[41] 다음 해에는 시집 ''Seeing Things''(1991)을 출판했다. 히니는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대학교 철학회의 명예 후원자가 되었고, 왕립 문학 학회의 명예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991).[42]
1993년 히니는 ''The Mays Anthology''의 객원 편집을 맡았다. 같은 해 딕킨슨 칼리지 예술상을 수상했고, 졸업 연설과 함께 명예 학위를 받았다.
1995년 히니는 "일상의 기적과 살아있는 과거를 찬양하는 서정적 아름다움과 윤리적 깊이가 있는 작품"으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다.[43] 수상 소식이 전해졌을 때, 그는 아내와 함께 그리스에서 휴가를 보내고 있었는데, 더블린 공항에 도착하기 전까지 기자나 그의 자녀들도 그와 연락이 닿지 않았다. 아일랜드 텔레비전 카메라가 그를 칼라마타까지 추적했다. W. B. 예이츠, 조지 버나드 쇼, 새뮤얼 베케트에 이어 아일랜드 노벨 문학상 수상자 반열에 오른 것에 대해 그는 "마치 산맥의 맨 아래에 있는 작은 구릉이 된 것 같아요. 그저 그에 걸맞게 살기를 바랍니다. 정말 놀라운 일입니다."라고 답했다.[44] 그와 그의 아내 마리는 아라스 언 아흐타란으로 이동하여 메리 로빈슨 대통령과 함께 샴페인을 마셨다.[44] 그는 다른 사람들과의 개인적인 대화에서 그 상을 조심스럽게 "N상"이라고 언급하곤 했다.[45]
1996년 시집 ''The Spirit Level''은 코스타 도서상에서 올해의 휘트브레드 도서상을 수상했으며, 1999년에는 ''베오울프: 새로운 운문 번역''으로 이 성공을 반복했다.[46]
1996년 왕립 아일랜드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1997년에 가입했다.[47] 같은 해, Aosdána의 사오이로 선출되었으며,[48] 1998년에는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의 명예 펠로우로 선출되었다.[49]
2. 5. 말년 (2000-2013)


2000년 히니는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고 졸업 축사를 했다.[50] 2002년에는 로즈 대학교에서 명예 박사 학위를 받고 "구강 시학"에 대한 공개 강연을 했다.[51]
2003년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에 셰이머스 히니 시 센터가 개관했다. 이곳에는 히니의 모든 작품과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발표 전체 목록을 기록한 히니 미디어 아카이브가 보관되어 있다.[52] 같은 해 히니는 은퇴한 대학교 총장 윌리엄 체이스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문학 자료 상당 부분을 에모리 대학교에 기증하기로 결정했다.[53][54] 에모리 자료는 히니의 작품(1964–2003)의 가장 큰 저장소였다. 그는 예이츠, 폴 멀둔, 키어런 카슨, 마이클 롱리 및 벨파스트 그룹의 다른 구성원을 포함한 아일랜드 작가들의 자료를 소장한 기존 대규모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기증했다.[55]
2003년, 대중문화 속에서 시와 가사에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인물이 있는지 질문을 받자, 히니는 디트로이트 출신의 미국 랩 아티스트 에미넴을 칭찬하며 "그는 무엇이 가능한지 보여주는 감각을 창조했다. 그는 한 세대에 전압을 보냈다. 그는 비판적인 태도뿐만 아니라 언어적 에너지로 이것을 해냈다."라고 말했다.[56][57] 히니는 유럽 연합 확대를 기념하기 위해 시 "Beacons at Bealtaine"을 썼고, 아일랜드 유럽 연합 이사회 의장국이 주최한 확대된 유럽 연합 25개국 정상의 행사에서 이 시를 낭독했다.
2006년 8월 히니는 뇌졸중을 겪었다. 회복 후 심장 모니터를 장착했을 때 "축복받은 것은 인공 심장 박동기"라고 농담했지만,[58] 몇 달 동안 모든 공개 일정을 취소했다.[59] 그는 극작가 브라이언 프리엘의 아내 앤 프리엘의 75번째 생일을 맞아 도네갈 주에 있었으며,[13][60] 병원에서 헤닝 만켈, 도나 레온, 로버트 해리스의 작품을 읽었다. 그의 방문객 중에는 전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도 있었다.[13][61]
히니의 ''구역과 원''은 2006년 T. S. 엘리엇 상을 수상했다.[62] 2008년, 그는 덴마크 오스테르마리에의 명예 예술가가 되었고, 셰이머스 히니 스트레데(거리)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009년 히니는 문학적 인물로서의 뛰어난 역할을 인정받아 더블린 대학교 (UCD) 법학회로부터 명예 종신 회원 자격을 받았다.[63]
2008년 파버 앤 파버는 데니스 오드리스콜의 저서 ''디딤돌: 셰이머스 히니와의 인터뷰''를 출판했는데, 이는 히니의 자서전에 가장 근접한 것으로 묘사되었다.[64] 2009년 히니는 데이비드 코헨 문학상을 수상했고, 2009년 4월 13일 그의 70번째 생일을 기념하기 위해 12시간이 넘는 분량의 음성 시집을 녹음했다.[65][66][67]
2010년 7월, 그는 멘토이자 시인이자 소설가인 마이클 맥라버티를 기리기 위해 웨스트 벨파스트 축제에서 연설했다. 맥라버티는 히니가 그의 시를 처음 출판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68]
2010년 9월, 파버는 히니의 열두 번째 시집인 ''휴먼 체인''을 출판했다. ''휴먼 체인''은 히니가 이전에 두 번이나 최종 후보에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한 번도 수상하지 못했던 포워드 시 상 최고의 시집 부문을 수상했다.[69][70] 시인의 첫 번째 시집 출판 44년 후에 출판된 이 책은 2006년 히니가 겪은 뇌졸중에서 영감을 받았는데, 이로 인해 그는 "어린아이" 같고 "위태로운" 상태가 되었다. 시인이자 포워드 심사위원인 루스 패들은 이 작품을 "고통스럽고 정직하며 섬세한 무게감을 가진 시 모음... 훌륭하고 인간적인 성과"라고 묘사했다.[69] 작가 콜름 토빈은 ''휴먼 체인''을 "수년 동안 그의 최고의 단일 작품이며, 그가 쓴 최고의 시 중 일부를 담고 있으며... 그림자와 기억, 속삭이는 것들, 지하 세계로의 여행, 비가(elegies)와 번역, 메아리와 침묵의 책"이라고 묘사했다.[71] 2010년 10월, 이 시집은 T. S. 엘리엇 상 최종 후보에 올랐다.
2011년 히니는 ''옵서버''에 의해 "영국 최고의 지식인 300인" 중 한 명으로 선정되었지만, 신문은 나중에 "영국인이라고 주장하지 않는 여러 개인이 포함되었다"는 정정 기사를 게재했으며, 히니가 그중 한 명이었다.[72] 같은 해, 그는 세이머스 히니 시 센터의 전통 가수로, 파드라기닌 니 우알라카인의 앨범인 ''스크라이브의 노래''에 고대 아일랜드어의 주석 번역을 기고했다.[73]
2011년 12월, 히니는 자신의 개인적인 문학 노트를 아일랜드 국립 도서관에 기증했다.[74] 그는 경매를 통해 엄청난 돈을 벌 수 있었을 것이라고 인정했지만, 개인적으로 노트와 초안 상자를 포장하여 아들 마이클과 함께 국립 도서관에 전달했다.[75]
2012년 6월, 히니는 그리핀 시상 재단 평생 공로상을 수상하고 이 상을 기념하는 연설을 했다.[76]
히니는 사망 당시 ''선집 1988–2013''을 기대하며 자신의 작품을 모으고 있었다. 이 선집에는 ''사물을 보는 눈'', ''영의 레벨'', ''베오울프'' 번역, ''전기 불빛'', ''구역과 원'', ''휴먼 체인''(2014년 가을)에서 발췌한 시와 글이 포함되어 있다.
2013년 8월 30일, 히니는 아일랜드 더블린의 병원에서 7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014년 2월, 에모리 대학교는 히니 사후 그의 삶과 작품을 기념하는 최초의 주요 전시회인 ''세이머스 히니: 일어나는 것의 음악''을 초연했다.[77] 이 전시회에는 1980년대에 사용했던 히니의 개인적인 책상 표면과 다른 작가들과의 오래된 사진과 개인적인 서신이 전시되어 있다.[78] 히니는 전시회 큐레이팅 과정 중인 2013년 8월에 사망했다. 히니의 삶과 작품을 기념하려는 전시회의 원래 비전은 유지되었지만, 그의 죽음과 그 영향력을 기리는 작은 섹션이 추가되었다.[79]
2015년 9월, 히니의 가족은 2016년에 사후에 ''아이네이스'' 6권의 번역본을 출판할 것이라고 발표했다.[80]
3. 작품 세계
셰이머스 히니는 테드 휴즈의 시에 영감을 받아 현대 시의 주제가 자신의 삶의 소재가 될 수 있음을 깨닫고 시를 쓰기 시작했다.[17] 그의 작품은 아일랜드, 특히 그가 나고 자란 북아일랜드의 지역 환경을 자주 다루었으며, 데리 카운티에서의 경험을 신뢰해야 함을 배웠다고 말했다.[107]
초기 작품집인 ''자연주의자의 죽음(Death of a Naturalist)''(1966)과 ''어둠 속으로 들어가는 문(Door into the Dark)''(1969)은 시골과 교구 생활을 묘사했다.[107] 이후 ''겨울 보내기(Wintering Out)''(1972)와 ''북''(1975)에서는 북아일랜드 습지를 배경으로 한 시들을 발표했다. 특히 ''북''에 수록된 "습지"와 "습지의 여왕"은 정치적 투쟁을 직접적으로 다루기도 했다.[104]
히니의 시에는 북아일랜드의 종파적 갈등에 대한 암시가 나타나며,[105][106] ''겨울나기''와 ''북''은 문제를 역사적 맥락 및 더 넓은 인간 경험과 연결하려 했다.[107] 그는 폭력의 "옹호자이자 신화학자"라는 비판을 받았지만,[107] 시인이 사적이고 비정치적일 권리를 옹호하며 시가 역사의 흐름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의문을 제기했다는 반론도 있다.[107]
히니는 1798년 아일랜드 반란군을 기리는 "크로피를 위한 진혼곡"을 발표하여 가톨릭과 개신교 양측 청중에게 낭독하며 "선동보다는 침묵을 깨는 것"이라고 말했다.[111] 그는 영국 계관시인직을 거절하며 자신의 "문화적 출발점"이 "중심에서 벗어났다"고 언급했다.[111] 또한 영국 선집에 포함되는 것에 반대하며 "내 여권은 초록색입니다. 우리 잔은 결코 여왕에게 건배하기 위해 올라가지 않았습니다."라는 시구를 통해 자신의 입장을 밝혔다.[111]
번역가로서 히니는 아일랜드 영어뿐 아니라 다른 지역과 시대의 영어에도 관심을 기울였으며, 앵글로색슨의 영향을 탐구했다. 그의 ''베오울프'' 번역(2000)은 현대 언어와 앵글로색슨 "음악"의 융합으로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107]
히니의 저서는 영국에서 생존 시인 판매량의 3분의 2를 차지할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17]
3. 1. 주제와 스타일
셰이머스 히니는 1957년부터 퀸스 대학교 벨파스트에서 영어 영문학을 공부하며 테드 휴즈의 시에 영감을 받아 시를 쓰기 시작했다. 그는 "갑자기 현대 시의 주제가 내 삶의 소재가 되었다"고 말했다.[17]그의 초기 작품인 ''자연주의자의 죽음(Death of a Naturalist)''(1966)과 ''어둠 속으로 들어가는 문(Door into the Dark)''(1969)은 주로 시골과 교구 생활의 세부 사항을 다루고 있다.[107]
''어둠 속으로 들어가는 문''(1969)과 ''겨울 보내기(Wintering Out)''(1972)를 시작으로 여러 권의 저서에서 히니는 북아일랜드의 습지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특히, ''북''(1975)에 수록된 습지 시 모음은 습지에 보존된 훼손된 시체들을 다루며 주목할 만하다. "습지"와 "습지의 여왕"과 같은 시는 처음으로 정치적 투쟁을 직접적으로 다루었다.[104]
히니의 시에서는 북아일랜드의 종파적 차이에 대한 암시를 찾을 수 있다.[105][106] ''겨울나기''(1973)와 ''북'' (1975)은 문제에 대한 논평을 역사적 맥락과 더 넓은 인간 경험과 엮으려 한다.[107] 일부 비평가들은 히니를 폭력에 대해 "옹호자이자 신화학자"라고 비난했지만, 블레이크 모리슨은 히니가 시인이 사적이고 비정치적일 권리를 옹호하며, 시가 역사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도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고 말했다.[107]
히니는 테리 이글턴에 의해 "계몽된 세계주의 자유주의자"로 묘사되며,[109] 정치적인 것으로부터 거리를 두려고 했다. 이글턴은 정치적인 것이 도입될 때는 히니가 무엇을 말하고 무엇을 말하지 않을 것인가에 대한 맥락에서만 나타난다고 지적한다.[110] 히니는 사람들의 삶과 목소리를 묘사하고 "정신적 풍경"을 이끌어내는 것을 선호했다.
히니는 1916년 부활절 봉기 50주년에 1798년 아일랜드 반란군을 기리는 시 "크로피를 위한 진혼곡"을 발표했다. 그는 아일랜드의 가톨릭과 개신교 청중 모두에게 그 시를 낭독하며, "선동보다는 침묵을 깨는 것"이라고 말했다.[111]
그는 영국 계관시인직 제안을 거절했는데, 부분적으로 정치적인 이유에서였다. 그는 자신의 "문화적 출발점"이 "중심에서 벗어났다"고 말했다.[111] 그는 북아일랜드에서 태어났지만, 영국 선집에 포함된 것에 대한 반응을 그의 시 "공개 서한"에서 "내 여권은 초록색입니다. 우리 잔은 결코 여왕에게 건배하기 위해 올라가지 않았습니다."라고 표현했다.[111]
히니는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아일랜드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 시대의 영어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앵글로색슨의 영향을 탐구했다. 히니의 ''베오울프'' 번역본(2000)은 현대 언어와 앵글로색슨 "음악"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107]
3. 2. 주요 작품
출판 연도 | 제목 |
---|---|
1966 | Death of a Naturalist |
1969 | Door into the Dark |
1972 | Wintering Out |
1975 | North |
1975 | Stations |
1979 | Field Work |
1980 | Selected Poems 1965-1975 |
1984 | Station Island |
1987 | The Haw Lantern |
1990 | The Cure at Troy |
1991 | Seeing Things |
1996 | The Spirit Level |
1999 | 베오울프: 새로운 운문 번역 |
2006 | 구역과 원 |
4. 영향과 유산
히니는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 시대에서 사용되는 영어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그의 작품과 연구에서 앵글로색슨의 영향을 탐구했다. 그의 첫 번역은 아일랜드 서정시 ''Buile Suibhne''를 번역한 ''Sweeney Astray: A Version from the Irish''(1984)였다. 그는 ''Station Island''(1984)에 실린 시에서 이 캐릭터와 연관성을 다루었다. 히니의 ''베오울프'' 번역본(Farrar, Straus & Giroux, 2000)은 휘트브레드 올해의 책상을 수상했으며, 현대 언어와 원래 앵글로색슨 "음악"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107]
5.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
1966년 | 에릭 그레고리 상[120] |
1967년 | 촐몬들리 상[121] |
1968년 | 서머싯 몸 상 |
1968년 | 제프리 파버 기념상[122] |
1975년 | E. M. 포스터 상[123] |
1975년 | 더프 쿠퍼 상 (시집 《노스》)[124] |
1995년 | 노벨 문학상[125] |
1996년 | 예술 문화 훈장 코망되르[125] |
1997년 | 아오스다나 사오이[126] |
1998년 | 세인트루이스 문학상 (세인트루이스 대학교 도서관 협회)[127][128] |
2000년 | 미국 철학회 회원[129] |
2001년 | 스트루가 시 축제 스트루가 시의 황금 화환 (시 분야 평생 공로)[130] |
2004년 | 케니언 리뷰 상 (문학적 업적)[131] |
2005년 | 아일랜드 펜 상[132] |
2006년 | T. S. 엘리엇 상 (시집 《구획과 원》)[125] |
2007년 | 시 나우 상 (《구획과 원》)[134][133] |
2009년 | 데이비드 코헨 상[125] |
2011년 | 시 나우 상 (시집 《휴먼 체인》)[134] |
2011년 | 아일랜드 도서상 밥 휴즈 평생 공로상[135] |
2012년 | 그리핀 시 문학상 평생 공로상[136] |
6. 작품 목록
셰이머스 히니는 시, 산문, 번역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작품 활동을 했다. 그의 작품은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으며, 학교 교과 과정에도 포함될 정도로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특히, 앵글로색슨어와 현대 영어의 융합을 시도한 ''베오울프'' 번역은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107]
6. 1. 시집
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66 | 자연주의자의 죽음(Death of a Naturalist)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69 | 어둠 속으로의 문(Door into the Dark)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72 | 겨울 나기(Wintering Out)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75 | 북(North)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79 | 현장 작업(Field Work)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84 | 스테이션 아일랜드(Station Island)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87 | 호손 랜턴(The Haw Lantern)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91 | 사물 보기(Seeing Things)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96 | 정신 수위(The Spirit Level)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2001 | 전기 불빛(Electric Light)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2006 | 지구와 원(District and Circle)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2010 | 인간 사슬(Human Chain) | 파버 & 파버(Faber & Faber) |
1980 | 1965–1975 시선집 | 페이버 앤드 페이버 |
1990 | 1966–1987 새로운 시선집 | 페이버 앤드 페이버 |
1998 | 열린 땅: 시 1966–1996 | 페이버 앤드 페이버 |
2014 | 1988–2013 새로운 시선집 | 페이버 앤드 페이버 |
2018 | 100편의 시 | 페이버 앤드 페이버 |
1965 | 열한 편의 시(Eleven Poems) | 퀸스 대학교(Queen's University) |
1968 | 섬 사람들(The Island People) | BBC |
1968 | 운율의 공간(Room to Rhyme) |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N.I.) |
1969 | 로우 네이 호수 시퀀스(A Lough Neagh Sequence) | 피닉스(Phoenix) |
1970 | 야간 운전(Night Drive) | 길버트슨(Gilbertson) |
1970 | 아들이 아버지를 고해성사로 데려다주는 이야기(A Boy Driving His Father to Confession) | 셉터 출판사(Sceptre Press) |
1973 | 탐험(Explorations) | BBC |
1975 | 정거장(Stations) | 얼스터먼 출판사(Ulsterman Publications) |
1975 | 늪 시(Bog Poems) | 레인보우 출판사(Rainbow Press) |
1975 | '불꽃 속의 불(The Fire i' the Flint)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1976 | 네 편의 시(Four Poems) | 크래녹 출판사(Crannog Press) |
1977 | 글랜모어 소네트(Glanmore Sonnets) | 에디션 모니카 베크(Editions Monika Beck) |
1977 | 그들의 요소 속에서(In Their Element) |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N.I.) |
1978 | 로버트 로웰: 추도 연설과 비가(Robert Lowell: A Memorial Address and an Elegy) | 페이버 앤 페이버(Faber & Faber) |
1978 | 음악의 제작(The Makings of a Music) | 리버풀 대학교 |
1978 | 여름 이후(After Summer)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1979 | 울타리 학교(Hedge School) | 야누스 출판사(Janus Press) |
1979 | 우골리노(Ugolino) | 카펜터 출판사(Carpenter Press) |
1979 | 중력(Gravities) | 샬롯 출판사(Charlotte Press) |
1979 | 가족 앨범(A Family Album) | 바이런 출판사(Byron Press) |
1980 | 투메(Toome) | 국립 예술 디자인 대학 |
1981 | 스위니는 나무를 칭찬한다(Sweeney Praises the Trees) | 헨리 피어슨(Henry Pearson) |
1982 | 개인 선집(A Personal Selection) | 얼스터 박물관 |
1982 | 시와 회고록(Poems and a Memoir) | 리미티드 에디션 클럽(Limited Editions Club) |
1983 | 공개 서한(An Open Letter) | 필드 데이(Field Day) |
1983 | 학교 아이들 사이에서(Among Schoolchildren) | 퀸스 대학교(Queen's University) |
1984 | 포드햄 졸업 축시(Verses for a Fordham Commencement) | 나디아 출판사(Nadja Press) |
1984 | 우박(Hailstones)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1985 | 양심 공화국으로부터(From the Republic of Conscience) | 국제 앰네스티 |
1985 | 장소와 전치(Place and Displacement) | 도브 코티지(Dove Cottage) |
1985 | 협력을 향하여(Towards a Collaboration) |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N.I.) |
1986 | 정리(Clearances) | 코르나모나 출판사(Cornamona Press) |
1988 | 현대 시 읽기(Readings in Contemporary Poetry) | DIA 미술 재단(DIA Art Foundation) |
1988 | 빗소리(The Sounds of Rain) | 에모리 대학교 |
1988 | 어두운 숲(The Dark Wood) | 콜린 스미스(Colin Smythe) |
1989 | 2층 전망(An Upstairs Outlook) | 린넨 홀 도서관 |
1989 | 글쓰기의 장소(The Place of Writing) | 에모리 대학교 |
1990 | 나무 시계(The Tree Clock) | 린넨 홀 도서관 |
1991 | 제자리 잡기(Squarings) | 히에로글리프 에디션스(Hieroglyph Editions) |
1992 | 오래가는 딜런(Dylan the Durable) | 벤닝턴 칼리지 |
1992 | 자갈길(The Gravel Walks) | 레노어 라인 칼리지 |
1992 | 황금 가지(The Golden Bough) | 본느팡 출판사(Bonnefant Press) |
1993 | 계속 나아가기(Keeping Going) | 보우 앤 애로우 출판사(Bow and Arrow Press) |
1993 | 기쁨 또는 밤(Joy or Night) | 스완지 대학교 |
1994 | 알파벳 확장(Extending the Alphabet) | 뉴펀들랜드 기념 대학교 |
1994 | 독서의 희망(Speranza in Reading) |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
1995 | 오스카 와일드 헌사(Oscar Wilde Dedication) | 웨스트민스터 사원 |
1995 | 찰스 몽고메리 몬테이스(Charles Montgomery Monteith) | 올 소울스 칼리지 |
1995 | 시의 인정: 노벨 강연(Crediting Poetry: The Nobel Lecture)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1996 | 졸업 축사(Commencement Address) | UNC 채플힐 |
1997 | 시인과 대장장이(Poet to Blacksmith) | 핌 위트베인(Pim Witteveen) |
1997 | 저녁 식사 후 연설(An After Dinner Speech) | 애틀랜틱 재단(Atlantic Foundation) |
1998 | 오덴적(Audenesque) | 매그(Maeght) |
1999 | 잎의 빛(The Light of the Leaves) | 본느팡 출판사(Bonnefant Press) |
1999 | 발리나힌 호수(Ballynahinch Lake) | 손조그니(Sonzogni) |
2001 | 집에 쓸 만한 무언가(Something to Write Home About) | 플라잉 폭스 |
2001 | 탑, 나무, 공포(Towers, Trees, Terrors) | 우르비노 대학교 |
2002 | 모든 것: 시의 좋은 점에 관하여(The Whole Thing: on the Good of Poetry) | 더 레코더(The Recorder) |
2002 | 희망과 역사(Hope and History) | 로드 대학교 |
2002 | 동전에 대한 예리함(A Keen for the Coins) | 레노어 라인 칼리지 |
2002 | 할라이그(Hallaig) | 소리 맥클린 트러스트(Sorley MacLean Trust) |
2002 | 아리온(Arion),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시, 러시아어에서 번역, 올가 칼라일의 주석, 아리온 출판사 | |
2003 | 극단의 서사시(Eclogues in Extremis) | 왕립 아일랜드 학술원 |
2003 | 제자리 잡기(Squarings) | 아리온 출판사(Arion Press) |
2004 |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Anything can Happen) | 타운 하우스 출판사(Town House Publishers) |
2004 | 운율의 공간(Room to Rhyme) | 던디 대학교 |
2004 | 크레시드의 유언(The Testament of Cresseid) | 에니타몬 출판사(Enitharmon Press) |
2004 | 콜룸킬 더 스크라이브(Columcille The Scribe) | 왕립 아일랜드 학술원 |
2005 | 마이클 맥라버티 헌사(A Tribute to Michael McLaverty) | 린넨 홀 도서관 |
2005 | 문은 열려 있다(The Door Stands Open) | 아일랜드 작가 센터(Irish Writers Centre) |
2005 | 전율(A Shiver) | 클루택 출판사(Clutag Press) |
2007 | 강둑 들판(The Riverbank Field)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2008 | 분절(Articulations) | 왕립 아일랜드 학술원 |
2008 | 한쪽에 하나(One on a Side) | 로버트 프로스트 재단(Robert Frost Foundation) |
2009 | 철자법(Spelling It Out)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2010 | 작가 & 라이터(Writer & Righter) | 아일랜드 인권 위원회 |
2012 | 델포이의 돌(Stone From Delphi) | 아리온 출판사(Arion Press) |
2013 | 마지막 산책(The Last Walk)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2019 | 나의 예이츠(My Yeats) | 예이츠 협회 슬라이고(Yeats Society Sligo) |
6. 2. 희곡
- 1990: ''트로이의 치료: 소포클레스의 필록테테스 개작'', 필드 데이
- 2004: ''테베에서의 장례: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 개작'', 페이버 앤드 페이버
6. 3. 번역
히니는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아일랜드에서 사용되는 영어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과 시대에서 사용되는 영어에도 관심을 가졌으며, 그의 작품과 연구에서 앵글로색슨의 영향을 탐구했다. 히니의 첫 번째 번역은 아일랜드 서정시 ''Buile Suibhne''의 번역으로, ''Sweeney Astray: A Version from the Irish''(1984)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그는 ''Station Island''(1984)에 실린 시에서 이 캐릭터와 연관성을 다루었다. 히니의 수상 경력에 빛나는 ''베오울프'' 번역본(Farrar, Straus & Giroux, 2000, 휘트브레드 올해의 책상)은 현대 언어와 원래 앵글로색슨 "음악"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107]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83 | 스위니의 방황: 아일랜드어 버전 | 필드 데이 |
1992 | 스위니의 비행 (레이첼 기스(사진작가)와 함께) | 파버 앤 파버 |
1993 | 미드나잇 버딕트: 브라이언 메리먼의 아일랜드어 번역,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 | 갤러리 프레스 |
1995 | 얀 코하노프스키의 폴란드 르네상스 시대의 비가 연작인 애가 (스타니스와프 바라안차크와 함께 번역) | 파버 앤 파버 |
1999 | 베오울프: 새로운 시 번역 | 파버 앤 파버 |
1999 | 사라진 자의 일기 (레오시 야나체크의 시가 연작, 요제프 칼다의 시) | 파버 앤 파버 |
2009 | 크레세이드의 유언과 일곱 개의 우화 | 파버 앤 파버 |
2016 | 아이네이스: 6권 | 파버 앤 파버 |
2022 | 번역 | 파버 앤 파버 |
1993 | 셰이머스 히니/내추럴리스트의 패러다임 (오노 마사카즈, 시미즈 시게오 저, 역, 서사 야마다) | |
1995 | 셰이머스 히니 전 시집 (무라타 타츠오 외 역, 국문사) | |
1997 | 말의 힘 (사노 테츠로 외 역, 국문사) | |
1999 | 수평기 (무라타 타츠오 외 역, 국문사) | |
2000 | 프리오큐페이션 산문 선집 (무로이 미츠히로, 사토 토루 역, 국문사) | |
2001 | 창작의 장소 (후로모토 타케토시, 사토 요코 역, 국문사) | |
2006 | 전등 (무라타 타츠오, 사카모토 칸슌, 스기노 토오루, 야쿠시가와 코우이치 역, 국문사) | |
2008 | 트로이의 치유 소포클레스 『필록테테스』의 변주 (오자와 시게루 역, 국문사) | |
2010 | 교외선과 순환선 (무라타 타츠오, 사카모토 칸슌, 스기노 토오루, 야쿠시가와 코우이치 역, 국문사) | |
2012 | 방황하는 스위니 (사카모토 칸슌, 야쿠시가와 코우이치, 스기노 토오루, 무라타 타츠오 역, 국문사) | |
2013 | 시의 교정 (오자와 시게루 역, 국문사) | |
2013 | 인간의 사슬 (사카모토 칸슌, 스기노 토오루, 무라타 타츠오, 야쿠시가와 코우이치 역, 국문사) | |
2014 | 테베의 매장 소포클레스 『안티고네』의 변주 (오자와 시게루 역, 국문사) | |
2018 | 베르길리우스 『아이네이스 제6가』 (사카모토 칸슌, 스기노 토오루 역, 국문사) |
6. 4. 기타 저서
Seamus Heaney영어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시와 산문을 썼으며, 번역에도 힘썼다. 다음은 그의 기타 저서 목록이다.출판 연도 | 제목 | 출판사 |
---|---|---|
1965 | 열한 편의 시(Eleven Poems) | 퀸스 대학교(Queen's University) |
1968 | 섬 사람들(The Island People) | BBC |
1968 | 운율의 공간(Room to Rhyme) |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N.I.) |
1969 | 로우 네이 호수 시퀀스(A Lough Neagh Sequence) | 피닉스(Phoenix) |
1970 | 야간 운전(Night Drive) | 길버트슨(Gilbertson) |
1970 | 아들이 아버지를 고해성사로 데려다주는 이야기(A Boy Driving His Father to Confession) | 셉터 출판사(Sceptre Press) |
1973 | 탐험(Explorations) | BBC |
1975 | 정거장(Stations) | 얼스터먼 출판사(Ulsterman Publications) |
1975 | 늪 시(Bog Poems) | 레인보우 출판사(Rainbow Press) |
1975 | '불꽃 속의 불(The Fire i' the Flint) |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
1976 | 네 편의 시(Four Poems) | 크래녹 출판사(Crannog Press) |
1977 | 글랜모어 소네트(Glanmore Sonnets) | 에디션 모니카 베크(Editions Monika Beck) |
1977 | 그들의 요소 속에서(In Their Element) |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N.I.) |
1978 | 로버트 로웰: 추도 연설과 비가(Robert Lowell: A Memorial Address and an Elegy) | 페이버 앤 페이버(Faber & Faber) |
1978 | 음악의 제작(The Makings of a Music) | 리버풀 대학교 |
1978 | 여름 이후(After Summer)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1979 | 울타리 학교(Hedge School) | 야누스 출판사(Janus Press) |
1979 | 우골리노(Ugolino) | 카펜터 출판사(Carpenter Press) |
1979 | 중력(Gravities) | 샬롯 출판사(Charlotte Press) |
1979 | 가족 앨범(A Family Album) | 바이런 출판사(Byron Press) |
1980 | 투메(Toome) | 국립 예술 디자인 대학 |
1980 | 몰두: 1968–1978년 산문선 | 파버 & 파버 |
1981 | 스위니는 나무를 칭찬한다(Sweeney Praises the Trees) | 헨리 피어슨(Henry Pearson) |
1982 | 개인 선집(A Personal Selection) | 얼스터 박물관 |
1982 | 시와 회고록(Poems and a Memoir) | 리미티드 에디션 클럽(Limited Editions Club) |
1983 | 공개 서한(An Open Letter) | 필드 데이(Field Day) |
1983 | 학교 아이들 사이에서(Among Schoolchildren) | 퀸스 대학교(Queen's University) |
1984 | 포드햄 졸업 축시(Verses for a Fordham Commencement) | 나디아 출판사(Nadja Press) |
1984 | 우박(Hailstones)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1985 | 양심 공화국으로부터(From the Republic of Conscience) | 국제 앰네스티 |
1985 | 장소와 전치(Place and Displacement) | 도브 코티지(Dove Cottage) |
1985 | 협력을 향하여(Towards a Collaboration) | 북아일랜드 예술 위원회(Arts Council N.I.) |
1986 | 정리(Clearances) | 코르나모나 출판사(Cornamona Press) |
1988 | 혀의 통치 | 파버 & 파버 |
1988 | 현대 시 읽기(Readings in Contemporary Poetry) | DIA 미술 재단(DIA Art Foundation) |
1988 | 빗소리(The Sounds of Rain) | 에모리 대학교 |
1988 | 어두운 숲(The Dark Wood) | 콜린 스미스(Colin Smythe) |
1989 | 2층 전망(An Upstairs Outlook) | 린넨 홀 도서관 |
1989 | 글쓰기의 장소(The Place of Writing) | 에모리 대학교 |
1990 | 나무 시계(The Tree Clock) | 린넨 홀 도서관 |
1991 | 제자리 잡기(Squarings) | 히에로글리프 에디션스(Hieroglyph Editions) |
1992 | 오래가는 딜런(Dylan the Durable) | 벤닝턴 칼리지 |
1992 | 자갈길(The Gravel Walks) | 레노어 라인 칼리지 |
1992 | 황금 가지(The Golden Bough) | 본느팡 출판사(Bonnefant Press) |
1993 | 계속 나아가기(Keeping Going) | 보우 앤 애로우 출판사(Bow and Arrow Press) |
1993 | 기쁨 또는 밤(Joy or Night) | 스완지 대학교 |
1994 | 알파벳 확장(Extending the Alphabet) | 뉴펀들랜드 기념 대학교 |
1994 | 독서의 희망(Speranza in Reading) | 태즈메이니아 대학교 |
1995 | 시의 교정: 옥스퍼드 강연 | 파버 & 파버 |
1995 | 오스카 와일드 헌사(Oscar Wilde Dedication) | 웨스트민스터 사원 |
1995 | 찰스 몽고메리 몬테이스(Charles Montgomery Monteith) | 올 소울스 칼리지 |
1995 | 시의 인정: 노벨 강연(Crediting Poetry: The Nobel Lecture)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1996 | 졸업 축사(Commencement Address) | UNC 채플힐 |
1997 | 시인과 대장장이(Poet to Blacksmith) | 핌 위트베인(Pim Witteveen) |
1997 | 저녁 식사 후 연설(An After Dinner Speech) | 애틀랜틱 재단(Atlantic Foundation) |
1998 | 오덴적(Audenesque) | 매그(Maeght) |
1999 | 잎의 빛(The Light of the Leaves) | 본느팡 출판사(Bonnefant Press) |
1999 | 발리나힌 호수(Ballynahinch Lake) | 손조그니(Sonzogni) |
2001 | 파인더스 키퍼스: 산문선 1971–2001 | 파버 & 파버 |
2001 | 집에 쓸 만한 무언가(Something to Write Home About) | 플라잉 폭스 |
2001 | 탑, 나무, 공포(Towers, Trees, Terrors) | 우르비노 대학교 |
2002 | 모든 것: 시의 좋은 점에 관하여(The Whole Thing: on the Good of Poetry) | 더 레코더(The Recorder) |
2002 | 희망과 역사(Hope and History) | 로드 대학교 |
2002 | 동전에 대한 예리함(A Keen for the Coins) | 레노어 라인 칼리지 |
2002 | 할라이그(Hallaig) | 소리 맥클린 트러스트(Sorley MacLean Trust) |
2002 | 아리온(Arion), 알렉산드르 푸시킨의 시, 러시아어에서 번역, 올가 칼라일의 주석 | 아리온 출판사 |
2003 | 극단의 서사시(Eclogues in Extremis) | 왕립 아일랜드 학술원 |
2003 | 제자리 잡기(Squarings) | 아리온 출판사(Arion Press) |
2004 | 무슨 일이든 일어날 수 있다(Anything can Happen) | 타운 하우스 출판사(Town House Publishers) |
2004 | 운율의 공간(Room to Rhyme) | 던디 대학교 |
2004 | 크레시드의 유언(The Testament of Cresseid) | 에니타몬 출판사(Enitharmon Press) |
2004 | 콜룸킬 더 스크라이브(Columcille The Scribe) | 왕립 아일랜드 학술원 |
2005 | 마이클 맥라버티 헌사(A Tribute to Michael McLaverty) | 린넨 홀 도서관 |
2005 | 문은 열려 있다(The Door Stands Open) | 아일랜드 작가 센터(Irish Writers Centre) |
2005 | 전율(A Shiver) | 클루택 출판사(Clutag Press) |
2007 | 강둑 들판(The Riverbank Field)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2008 | 분절(Articulations) | 왕립 아일랜드 학술원 |
2008 | 한쪽에 하나(One on a Side) | 로버트 프로스트 재단(Robert Frost Foundation) |
2009 | 철자법(Spelling It Out)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2010 | 작가 & 라이터(Writer & Righter) | 아일랜드 인권 위원회 |
2012 | 델포이의 돌(Stone From Delphi) | 아리온 출판사(Arion Press) |
2013 | 마지막 산책(The Last Walk) | 갤러리 출판사(Gallery Press) |
2019 | 나의 예이츠(My Yeats) | 예이츠 협회 슬라이고(Yeats Society Sligo) |
그는 아일랜드 서정시 ''Buile Suibhne''를 번역하여 ''Sweeney Astray: A Version from the Irish''(1984)라는 제목으로 출판했으며, ''Station Island''(1984)에 실린 시에서 이 인물과 연관성을 다루었다. 또한, ''베오울프'' 번역본(Farrar, Straus & Giroux, 2000, 휘트브레드 올해의 책상)은 현대 언어와 원래 앵글로색슨 "음악"의 융합을 통해 획기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았다.[107]
참조
[1]
웹사이트
Seamus Heaney obituary
https://www.theguard[...]
2013-08-30
[2]
뉴스
Seamus Heaney deserves a lot more than £40,000
https://www.theguard[...]
2009-03-19
[3]
서적
The Eco Press, Hopewell
[4]
뉴스
Seamus Heaney obituary: Nobel Prize-winning Irish Poet
https://www.independ[...]
2013-08-30
[5]
서적
Opened Ground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and Giroux
[6]
뉴스
Seamus Heaney: Headstone for poet's grave unveiled
https://www.bbc.co.u[...]
BBC News
2015-08-14
[7]
웹사이트
Biography of Irish Writer Seamus Heaney
http://www.seamushea[...]
www.seamusheaney.org
2010-02-20
[8]
서적
Seamus Heaney: The Making of the Poet
University of Iowa Press
[9]
웹사이트
A Note on Seamus Heaney
http://inform.orbita[...]
inform.orbitaltec.ne
2009-04-20
[10]
웹사이트
Biography
https://www.nobelpri[...]
Nobel Media
2010-05-23
[11]
서적
Styl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Seamus Heaney: The Making of the Poet
University of Iowa Press
[13]
뉴스
Seamus Heaney: A life of rhyme
https://www.theguard[...]
2009-07-18
[14]
뉴스
Tragic death of brother (4) that inspired Seamus Heaney recalled
https://www.belfastt[...]
2021-02-02
[15]
웹사이트
Heaney, Seamus: Mid-Term Break
http://litmed.med.ny[...]
Litmed.med.nyu.edu
1999-10-27
[16]
뉴스
Why have football and hurling remained a cultural wasteland for our writers and artists?
https://www.independ[...]
2020-04-05
[17]
뉴스
Faces of the week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19
[18]
웹사이트
Your Place and Mine: Bellaghy – Seamus Heaney
https://www.bbc.co.u[...]
BBC
[19]
뉴스
Sweet airs that delight
https://www.theguard[...]
2002-04-13
[20]
웹사이트
Biography
http://www.britishco[...]
British Council
2010-05-23
[21]
문서
Ed. Bernard O'Donoghue ''The Cambridge Companion to Seamus Heaney'' (2009) Cambridge University Press pxiii
http://assets.cambri[...]
2010-05-23
[22]
간행물
Sophia Hillan, ''New Hibernia Review / Iris Éireannach Nua'', Vol. 9, No. 3 (Autumn, 2005), pp. 86–106. Wintered into Wisdom: Michael McLaverty, Seamus Heaney, and the Northern Word-Hoard. University of St. Thomas (Center for Irish Studies)
[23]
서적
McLaverty, Michael (2002) ''Collected Short Stories'', Blackstaff Press Ltd, p. xiii
[24]
뉴스
Michael McLaverty, Seamus Heaney and the writerly bond
https://www.irishtim[...]
2017-10-20
[25]
서적
Nobel Faces: A Gallery of Nobel Prize Winners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6]
뉴스
Don't sweat the big stuff: Top earner Tubridy sticks to small talk
https://www.irishtim[...]
2021-01-22
[27]
뉴스
Door into the Dark opened the portals to a different future
https://www.theguard[...]
2014-08-17
[28]
논문
Seamus Heaney at Berkeley, 1970–71
[29]
웹사이트
Seamus Heaney
https://www.nobelpri[...]
[30]
서적
Seamus Heaney: The Crisis of Identit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31]
뉴스
Biography
http://aosdana.artsc[...]
[32]
웹사이트
Fordham Notes: Seamus Heaney's "Verses for a Fordham Commencement"
http://fordhamnotes.[...]
2013-08-30
[33]
웹사이트
Irish Nobel Prize Poet Seamus Heaney Dies Aged 74 -VIDEO
http://www.ibtimes.c[...]
Ibtimes.co.uk
2013-08-30
[34]
문서
The Cambridge Companion to Seamus Heaney, "Heaney in Public" by [[Dennis O'Driscoll]] (p56-72)
[35]
웹사이트
Barclay Agency profile
http://barclayagency[...]
Barclayagency.com
2013-08-30
[36]
웹사이트
British Council biography of Heaney
https://web.archive.[...]
2010-04-19
[37]
웹사이트
Seamus Heaney, Poet
http://www.frontline[...]
2014-11-30
[38]
웹사이트
From the Republic of Conscience
http://www.amnesty.i[...]
Amnesty International
2014-11-30
[39]
뉴스
Seamus Heaney Exhibit
http://news.emory.ed[...]
Emory University
2014-01
[40]
웹사이트
Heaney 'catches the heart off guard'
http://news.harvard.[...]
Harvard University
2010-05-15
[41]
웹사이트
Play Listing
http://www.irishplay[...]
Irish Theatre Institute
2007-08-24
[42]
웹사이트
Royal Society of Literature All Fellows
http://www.rslit.org[...]
Royal Society of Literature
2010-08-09
[43]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1995
http://nobelprize.or[...]
Nobelprize
2010-10-07
[44]
뉴스
Laureate and Symbol, Heaney Returns Home
https://www.nytimes.[...]
1995-10-09
[45]
뉴스
Michael Longley: 'Being 77 and three-quarters is the best time of my life'
https://www.irishtim[...]
2017-06-17
[46]
웹사이트
Beowulf: A New Translation
http://www.rambles.n[...]
Rambles.net
2010-11-20
[47]
웹사이트
Seamus Heaney MRIA 1939–2013 – A Very Special Academician
http://www.ria.ie/Ne[...]
ria.ie
2013-09-08
[48]
웹사이트
Seamus Heaney
http://aosdana.artsc[...]
aosdána.artscouncil.ie
2013-09-08
[49]
뉴스
Trinity College Dublin announces new Professorship – Seamus Heaney Professorship in Irish Writing
https://www.tcd.ie/n[...]
2012-12-17
[50]
웹사이트
University of Pennsylvania. Honorary Degree awarded
http://www.upenn.edu[...]
2010-09-19
[51]
웹사이트
Rhodes Department of English Annual Report 2002-2003
http://www.ru.ac.za/[...]
2007-10-18
[52]
웹사이트
The Seamus Heaney Centre for Poetry
http://www.qub.ac.uk[...]
[53]
웹사이트
Emory Acquires Nobel Laureate Seamus Heaney Letters
http://www.emory.edu[...]
Emory University
2003-09-24
[54]
뉴스
Poet Heaney donates papers to Emory
http://chronicle.aug[...]
2003-09-25
[55]
웹사이트
Emory University. Manuscripts, Archives and Rare Book Library (MARBL)
http://marbl.library[...]
[56]
서적
The Way I Am
autobiography
2008-10-21
[57]
뉴스
Seamus Heaney praises Eminem
http://news.bbc.co.u[...]
BBC News
2010-04-09
[58]
뉴스
Heaney bid farewell at funeral
http://www.belfastte[...]
Belfast Telegraph
2013-09-02
[59]
뉴스
Today Programme
BBC Radio 4
2007-01-16
[60]
뉴스
Poet 'cried for father' after stroke
http://news.bbc.co.u[...]
BBC News
2009-07-20
[61]
뉴스
Nobel winner Seamus Heaney recalls secret visit from Bill Clinton: President visit to Heaney's hospital bed after near-fatal stroke
http://news.irishcen[...]
2009-07-19
[62]
뉴스
Heaney wins TS Eliot poetry prize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1-15
[63]
웹사이트
Announcement of Awards
http://www.ucd.ie/st[...]
University College Dublin
[64]
웹사이트
Estate of Seamus Heaney-Stepping Stones
https://www.seamushe[...]
2021-12-31
[65]
뉴스
Collected Poems: Seamus Heaney
http://www.faber.co.[...]
2009-04-02
[66]
뉴스
Heaney at 70
http://www.rte.ie/he[...]
2009-04
[67]
뉴스
Seamus Heaney 70th birthday commemorative Irish Times supplement
http://www.irishtime[...]
2009-04
[68]
뉴스
Féile an Phobail, Festival of the People, 2010 programme
http://www.feilebelf[...]
2010-07-12
[69]
뉴스
Seamus Heaney wins £10k Forward poetry prize for Human Chain
https://www.theguard[...]
2010-10-06
[70]
뉴스
Human Chain by Seamus Heaney
https://www.theguard[...]
2010-08-22
[71]
뉴스
Human Chain by Seamus Heaney – review
https://www.theguard[...]
2010-08-21
[72]
뉴스
Britain's top 300 intellectuals
https://www.theguard[...]
2011-05-08
[73]
간행물
Songs of the Scribe Sung by Pádraigín Ní Uallacháin
http://journalofmusi[...]
Journal of Music
2011-12-06
[74]
뉴스
Seamus Heaney declutters home and donates personal notes to National Library
http://www.independe[...]
2011-12-21
[75]
뉴스
Seamus Heaney's papers go to Dublin, but we don't mind, insists QUB
http://www.belfastte[...]
2011-12-22
[76]
뉴스
2012 – Seamus Heaney
http://www.griffinpo[...]
2012-06-07
[77]
웹사이트
Seamus Heaney: The Music of What Happens
http://web.library.e[...]
[78]
웹사이트
Seamus Heaney: The Music of What Happens
http://www.atlantapl[...]
2015-04-15
[79]
웹사이트
Woodruff Library Welcomes Seamus Heaney Exhibit
https://emorywheel.c[...]
2014-01-28
[80]
웹사이트
New Seamus Heaney translation to be published next year
https://www.theguard[...]
2015-09-10
[81]
뉴스
HEANEY, Seamus : Death notice
http://notices.irish[...]
The Irish Times
2013-09-30
[82]
뉴스
Tributes paid to 'keeper of language' Seamus Heaney
http://www.irishtime[...]
2013-08-30
[83]
뉴스
Higgins to lead mourners at funeral Mass for poet
http://www.independe[...]
Sunday Independent
2013-09-01
[84]
뉴스
Seamus Heaney laid to rest in Bellaghy
http://www.irishtime[...]
Irish Times
2013-09-02
[85]
뉴스
Seamus Heaney's last words were 'Noli timere', son tells funeral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9-02
[86]
뉴스
Mick Heaney: My father's famous last words; Seamus Heaney's son writes about his father's final message to his family: 'Noli timere'
http://www.irishtime[...]
The Irish Times
2015-09-12
[87]
뉴스
Funeral of Seamus Heaney to be broadcast live on RTÉ
http://www.thejourna[...]
TheJournal.ie
2013-09-01
[88]
뉴스
Heaney books sell out amid massive demand
http://www.irishtime[...]
Irish Times
2013-09-05
[89]
웹사이트
Statement from Áras an Uachtaráin – Seamus Heaney
http://www.president[...]
Áras an Uachtaráin
2013-08-30
[90]
Youtube
President Michael D Higgins pays tribute to his friend Seamus Heaney
https://www.youtube.[...]
RTÉ News
2013-08-31
[91]
뉴스
Tributes to Seamus Heaney
https://www.bbc.co.u[...]
BBC News Northern Ireland
2013-08-30
[92]
뉴스
President and Taoiseach lead tributes to the late Seamus Heaney: Tributes paid to the Nobel Laureate who died this morning at the age of 74
http://www.independe[...]
2013-08-30
[93]
뉴스
Seamus Heaney's death 'leaves breach in language itself': Tributes flow in from fellow writers after poet who won Nobel prize for literature dies in Dublin aged 74
https://www.theguard[...]
2013-08-30
[94]
뉴스
Seamus Heaney's books were events in our lives
https://www.theguard[...]
2013-08-30
[95]
뉴스
Heaney deserves place among the pantheon, says Dorgan
http://www.irishtime[...]
2013-08-30
[96]
뉴스
Poet Seamus Heaney dies aged 74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8-30
[97]
웹사이트
Emory honors literary icon with 'A Tribute to Seamus Heaney'
http://news.emory.ed[...]
2014-09-23
[98]
웹사이트
A Tribute To Seamus Heaney
http://www.southbank[...]
2015-04-15
[99]
Youtube
Seamus Heaney: A Memorial Celebration
https://www.youtube.[...]
2013-11-07
[100]
웹사이트
A poet's own epitaphs
https://news.harvard[...]
2013-11-08
[101]
웹사이트
Bodleian Library – SPECIAL EVENT: Oxford Tribute to Seamus Heaney
http://www.bodleian.[...]
2015-04-15
[102]
웹사이트
Poets Gather to Remember Seamus Heaney in New York City on 11 November at 7:00 p.m.
http://www.poets.org[...]
2015-04-15
[10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Seamus Heane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9
[104]
서적
The body and desire in contemporary Irish poetry
https://books.google[...]
Irish Academic Press
[105]
웹사이트
Did Seamus Heaney Write Political Poems?
https://independentl[...]
2020-10-10
[106]
웹사이트
Expressing Humanity During 'The Troubles:' The Poetry of Seamus Heaney
https://trinity.duke[...]
[107]
뉴스
Biography
http://www.poetryfou[...]
[108]
뉴스
Station Island, Seamus Heaney
http://new.bostonrev[...]
1985-02-01
[109]
간행물
Terry Eagleton reviews 'Beowulf' translated by Seamus Heaney · ''LRB'' 11 November 1999
http://www.lrb.co.uk[...]
Lrb.co.uk
1999-11-11
[110]
뉴스
The view from Olympia
https://www.theguard[...]
2001-04-07
[111]
뉴스
Interview with Seamus Heaney: On the eve of his 70th birthday, Seamus Heaney tells Sameer Rahim about his lifetime in poetry – and who he thinks would make a good poet laureate
https://www.telegrap[...]
2009-05-11
[112]
뉴스
The Week Ahead: Jan. 21 – 27
https://www.nytimes.[...]
2007-01-21
[113]
서적
In Gratitude for all the Gifts: Seamus Heaney and Eastern Europ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12
[114]
뉴스
Bags of enlightenment
https://www.theguard[...]
2003-10-25
[115]
Youtube
video tribute
http://www.irishnews[...]
[116]
뉴스
Seamus Heaney's biographer races to see poet's faxes before they fade
https://www.theguard[...]
2017-11-14
[117]
웹사이트
BBC Two – Seamus Heaney and the music of what happens
https://www.bbc.co.u[...]
BBC
[118]
문서
literary Review
https://literaryrevi[...]
2023-10
[119]
간행물
From "The Aeneid" Book VI
http://www.newyorker[...]
2016-03-07
[120]
문서
Past Winners of the Eric Gregory Award
https://www.societyo[...]
The Society of Authors
[121]
문서
Past winners of the Cholmondeley Awards
https://www.societyo[...]
The Society of Authors
2019-04-23
[122]
문서
The Geoffrey Faber Memorial Prize
https://www.foyles.c[...]
W & G Foyle Ltd.
2019-04-23
[123]
문서
Seamus Heaney
http://artsandletter[...]
American Academy of Arts and Letters
[124]
문서
Past Winners of the Duff Cooper Prize
http://www.theduffco[...]
theduffcooperprize.org
2019-04-23
[125]
뉴스
Obituary: Heaney 'the most important Irish poet since Yeats'
http://www.irishtime[...]
Irish Times
2013-08-30
[126]
뉴스
Heaney's gift of seeing beauty in everything
http://www.independe[...]
2013-08-30
[127]
웹사이트
Saint Louis Literary Award | Saint Louis University
http://www.slu.edu/l[...]
[128]
웹사이트
Recipients of the Saint Louis Literary Award
http://lib.slu.edu/a[...]
[129]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130]
서적
Stepping Stones: interviews with Seamus Heaney
Farrar, Straus and Giroux.
2008
[131]
웹사이트
Kenyon Review for Literary Achievement
http://www.kenyonrev[...]
[132]
문서
Irish PEN Award for Literature
http://www.irishpen.[...]
Irish PEN
[133]
뉴스
Heaney work a unanimous choice
http://www.irishtime[...]
Irish Times
2007-03-31
[134]
뉴스
Heaney wins 'Irish Times' poetry award
http://www.irishtime[...]
Irish Times
2011-03-26
[135]
뉴스
Heaney honoured at book awards
http://www.irishtime[...]
2011-11-18
[136]
뉴스
Heaney wins top Canadian prize
http://www.irishtime[...]
2012-06-16
[137]
논문
アイルランド文学 カトリック信仰とケルト文化の一体化
鳥影社
2023
[138]
뉴스
Obituary: Seamus Heaney
https://www.bbc.com/[...]
2013-08-30
[139]
뉴스
Can religious sceptics celebrate Christmas? Just look to Seamus Heaney
https://www.irishtim[...]
2018-1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